관계대명사와 접속사의 차이점
관계대명사와 접속사 둘 다 문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지만, 그 기능과 쓰임새에 차이가 있어요.
1. 접속사 (Conjunction)
- 두 개 이상의 단어, 구, 또는 절을 대등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해요.
- 문장 구조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단순히 나열하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해요.
- 문장 성분으로 쓰이지 않고, 단순히 연결 역할만 해요.
- 종류: and, but, or, so, yet, because, as, since 등
예시
- I like apples and bananas. (나는 사과와 바나나를 좋아한다.)
- She is smart but lazy. (그녀는 똑똑하지만 게으르다.)
- He went to bed early because he was tired. (그는 피곤해서 일찍 잠에 들었다.)
2. 관계대명사 (Relative Pronoun)
- 두 개의 문장을 연결하면서 선행사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을 이끄는 역할을 해요.
- 관계대명사절은 선행사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형용사절이예요.
- 관계대명사절 안에서 주어, 목적어, 보어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두 문장을 연결해요.
- 종류: who, whom, which, that, whose, what 등
예시
- The book which I read was very interesting. (내가 읽은 책은 매우 흥미로웠다.)
- The man who lives next door is a doctor. (이웃집에 사는 남자는 의사이다.)
- The car that I bought is very fast. (내가 산 차는 매우 빠르다.)
핵심 차이점 정리
구분
|
기능
|
역할
|
종류
|
예시
|
접속사
|
단어, 구, 절을 대등하게 연결
|
문장 구조에 영향 X
|
and, but, or, so, because, as 등
|
I like apples and bananas.
|
관계대명사
|
두 문장을 연결, 선행사 수식
|
관계대명사절(형용사절)을 이끎
|
who, whom, which, that, whose,what
|
The book which I read was interesting.
|
3. 예시
구분
|
예시
|
설명
|
접속사
|
I like apples and bananas.
|
'and'는 'apples'와 'bananas'를 대등하게 연결.
|
접속사
|
She is smart but lazy.
|
'but'은 'smart'와 'lazy'를 대등하게 연결.
|
접속사
|
He went to bed early because he was tired.
|
'because'는 이유를 나타내는 부사절을 이끌며, 주절과 대등한 관계.
|
관계대명사
|
The book which I read was very interesting.
|
'which'는 선행사 'The book'을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을 이끌면서, 관계대명사절 안에서 주어 역할.
|
관계대명사
|
The man who lives next door is a doctor.
|
'who'는 선행사 'The man'을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을 이끌면서, 관계대명사절 안에서 주어 역할.
|
관계대명사
|
The car that I bought is very fast.
|
'that'은 선행사 'The car'를 수식하는 관계대명사절을 이끌면서, 관계대명사절 안에서 주어 역할.
|
4. 추가 정보
- 관계대명사는 접속사 + 대명사 역할을 동시에 수행.
- 관계대명사절은 생략 가능하거나 관계부사로 바꿔 쓸 수 있는 경우도 있어요.
1. 말할 때 자주 쓰이는 관계대명사 (구어체)
일상 대화에서는 문장을 간결하게 만들기 위해 that을 많이 사용하고, 일부 관계대명사는 생략되기도 해요.
관계대명사
|
의미
|
예문 (자연스러운 회화 표현)
|
who
|
사람 (주격)
|
That’s the guy who helped me! (저 사람 나 도와줬어!)
|
that
|
사람, 사물 (주격/목적격)
|
This is the movie that I told you about. (이게 내가 말한 영화야.)
|
(생략 가능)
|
목적격 (구어체에서 자주 생략)
|
The book (that) I read was amazing! (내가 읽은 책 진짜 좋았어!)
|
where
|
장소
|
This is the cafe where we first met. (여기가 우리가 처음 만난 카페야.)
|
when
|
시간
|
I remember the day when we went to the beach. (우리 해변 갔던 날 기억나.)
|
what
|
"the thing(s) that"
|
Tell me what you want. (뭐 갖고 싶은지 말해봐.)
|
which
|
사물 (주격/목적격)
|
The car which I bought is super fast! (내가 산 차 진짜 빨라!)
|
✔ 구어체 특징
- "that"이 who/which 대신 자주 쓰임.
- 목적격 관계대명사 **(that, which, who)**는 자주 생략됨.
- "whom"은 구어체에서 거의 안 씀.(대신 "who" 사용)
- "what"은 앞에 선행사 없이 **"the thing that"**의 의미로 자주 사용됨.
2. 문학 작품에 자주 쓰이는 관계대명사 (문어체, 격식체)
문학이나 공식 문서에서는 보다 격식 있는 표현이 쓰이며, "whom", "whose" 같은 단어도 많이 등장해요.
관계대명사
|
의미
|
예문 (문학적 표현)
|
who
|
사람 (주격)
|
She was a woman who possessed great wisdom. (그녀는 위대한 지혜를 가진 여성이었다.)
|
whom
|
사람 (목적격, 격식)
|
He knew the man whom he had once admired. (그는 한때 존경했던 남자를 알고 있었다.)
|
whose
|
소유격
|
The artist, whose paintings were admired worldwide, remained humble. (그의 그림이 전 세계적으로 찬사를 받았던 그 예술가는 겸손했다.)
|
which
|
사물, 동물
|
The castle, which stood tall for centuries, was now in ruins. (수세기 동안 우뚝 서 있던 그 성은 이제 폐허가 되었다.)
|
that
|
사람, 사물 (격식적이진 않지만 문어체에서도 사용)
|
This was the moment that changed everything. (이것이 모든 것을 바꾼 순간이었다.)
|
where
|
장소
|
He returned to the village where he was born. (그는 자신이 태어난 마을로 돌아왔다.)
|
when
|
시간
|
It was the year when the war ended. (그 해는 전쟁이 끝난 해였다.)
|
why
|
이유
|
No one knew the reason why he disappeared. (아무도 그가 사라진 이유를 몰랐다.)
|
what
|
"the thing that"
|
He gave her what she desired the most. (그는 그녀가 가장 원하는 것을 주었다.)
|
✔ 문어체 특징
- "whom"을 목적격으로 자주 사용. (구어체에서는 거의 안 씀)
- "whose"를 소유격으로 많이 사용.
- "which"가 문장에서 더 많이 등장하며, **콤마(,)**를 동반해 추가 정보를 제공할 때 자주 사용됨 .(The book, which was published in 1890, is still famous.)
- "that"도 쓰이지만, 공식적인 문장에서는 "which"가 선호됨.
3. 결론: 구어체 vs. 문어체 관계대명사 비교
관계대명사
|
구어체 (일상 대화)
|
문어체 (문학, 공식 문서)
|
who
|
일반적인 주격 사용
|
일반적인 주격 사용
|
whom
|
거의 안 씀 (대신 "who")
|
목적격으로 자주 사용
|
whose
|
가끔 사용
|
소유격으로 많이 사용
|
which
|
"that"으로 대체 가능
|
공식적인 문장에서 많이 사용
|
that
|
자주 사용 (who/which 대신)
|
사용 가능하지만 덜 공식적
|
where
|
일상 대화에서도 자주 사용
|
문학에서도 사용
|
when
|
구어체에서도 사용
|
문학에서도 사용
|
why
|
종종 사용
|
문학적으로도 사용
|
what
|
"the thing that" 의미로 자주 사용
|
문학에서도 같은 의미로 사용
|
✔ 실제 회화에서는 문장을 짧고 간결하게 말하기 위해 관계대명사를 생략하거나 "that"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.
✔ 문학에서는 보다 다양한 관계대명사가 사용되며, "whom"이나 "whose" 같은 격식 있는 표현이 많음.
자주 쓰이는 접속사 정리
접속사는 문장에서 단어, 구(phrase), 절(clause)을 연결하는 역할을 해요.
크게 등위접속사, 상관접속사, 종속접속사로 나눌 수 있어요.
1. 등위접속사 (Coordinating Conjunctions)
→ 대등한 문장 성분(단어, 구, 절)을 연결할 때 사용.
접속사
|
의미
|
예문 (자연스러운 회화)
|
and
|
그리고
|
I bought a coffee and a muffin. (나 커피랑 머핀 샀어.)
|
but
|
하지만
|
She’s smart, but lazy. (그녀는 똑똑한데 게을러.)
|
or
|
또는, 아니면
|
Do you want pizza or pasta? (피자 먹을래, 아니면 파스타?)
|
nor
|
~도 아니다
|
I don’t like coffee, nor do I drink tea. (나 커피 안 좋아해, 차도 안 마셔.)
|
for
|
왜냐하면 (문어체)
|
He was late, for his car broke down. (그는 늦었어, 왜냐하면 차가 고장 났거든.)
|
so
|
그래서
|
I was tired, so I went to bed early. (나 피곤해서 일찍 잤어.)
|
yet
|
하지만, 그런데도
|
It’s expensive, yet people still buy it. (비싼데도 사람들은 여전히 사.)
|
✔ 일상 회화에서는 "for"는 잘 안 쓰이고, "so"나 "because"를 더 자주 사용함.
✔ "nor"는 주로 부정문에서 사용되며, 일상 회화에서는 "and not"으로 대체 가능함.
2. 상관접속사 (Correlative Conjunctions)
→ 쌍을 이루어 사용되는 접속사
접속사
|
의미
|
예문 (자연스러운 회화)
|
both A and B
|
A와 B 둘 다
|
I like both coffee and tea. (나 커피랑 차 둘 다 좋아해.)
|
either A or B
|
A 또는 B
|
You can have either cake or ice cream. (케이크나 아이스크림 중에 하나 먹어.)
|
neither A nor B
|
A도 B도 아닌
|
I like neither math nor science. (나 수학이랑 과학 둘 다 안 좋아해.)
|
not only A but also B
|
A뿐만 아니라 B도
|
She’s not only kind but also funny. (그녀는 친절할 뿐만 아니라 재미있어.)
|
whether A or B
|
A든 B든
|
I don’t care whether we eat out or cook at home. (외식하든 집에서 요리하든 상관없어.)
|
as A as B
|
B만큼 A한
|
She’s as tall as her brother. (그녀는 오빠만큼 키가 커.)
|
✔ 일상 대화에서는 "not only A but also B" 대신 "not just A but also B" 같은 표현도 자주 씀.
✔ "neither A nor B"는 구어체에서 "not A or B"로 간단히 바꾸기도 함.
3. 종속접속사 (Subordinating Conjunctions)
→ 주절과 종속절을 연결할 때 사용 (종속절이 주절을 보완하는 역할을 함)
① 이유 / 원인 (Because, Since, As)
접속사
|
의미
|
예문 (자연스러운 회화)
|
because
|
~때문에
|
I’m staying home because it’s raining. (비 와서 집에 있을 거야.)
|
since
|
~이므로, ~한 이후로
|
Since you’re here, let’s start. (네가 왔으니까 시작하자.)
|
as
|
~때문에 (격식)
|
I left early as I had work to do. (할 일이 있어서 일찍 나왔어.)
|
✔ "because"는 이유를 강조할 때, "since/as"는 자연스러운 이유 설명에 자주 사용됨.
② 조건 (If, Unless, As long as, Provided that)
접속사
|
의미
|
예문 (자연스러운 회화)
|
if
|
만약 ~라면
|
I’ll go if I have time. (시간 있으면 갈게.)
|
unless
|
~하지 않는 한
|
I won’t go unless you come with me. (네가 같이 안 가면 나도 안 갈 거야.)
|
as long as
|
~하는 한
|
You can stay as long as you’re quiet. (조용히만 있으면 있어도 돼.)
|
provided that
|
~하는 조건으로
|
You can leave early provided that you finish your work. (일 끝내면 일찍 가도 돼.)
|
✔ "unless"는 "if ~ not"과 같은 의미지만, 회화에서는 "if not"이 더 자연스럽게 쓰일 때도 있음.
✔ "provided that"은 격식적인 표현으로, 일상 대화에서는 "as long as"가 더 자주 쓰임.
③ 시간 (When, While, Before, After, Until, Once, As soon as)
접속사
|
의미
|
예문 (자연스러운 회화)
|
when
|
~할 때
|
Call me when you get home. (집 도착하면 전화해.)
|
while
|
~하는 동안
|
I listened to music while studying. (공부하면서 음악 들었어.)
|
before
|
~하기 전에
|
Brush your teeth before bed. (자기 전에 양치해.)
|
after
|
~한 후에
|
Let’s eat after the movie. (영화 끝나고 먹자.)
|
until
|
~할 때까지
|
I’ll wait until you’re ready. (네가 준비될 때까지 기다릴게.)
|
once
|
일단 ~하면
|
Once you try it, you’ll love it. (한 번 해보면 좋아할 걸.)
|
as soon as
|
~하자마자
|
Text me as soon as you arrive. (도착하자마자 문자해.)
|
✔ "once"는 "일단 ~하면"이라는 의미로 회화에서 자주 사용됨.
✔ "as soon as"는 즉각적인 행동을 강조할 때 많이 사용됨.
4. 결론: 일상 회화 vs. 문어체에서 자주 쓰이는 접속사
접속사 유형
|
구어체 (일상 대화)
|
문어체 (격식체, 문학)
|
등위접속사
|
and, but, so, or
|
yet, nor, for
|
상관접속사
|
both A and B, either A or B
|
neither A nor B, not only A but also B
|
이유 / 원인
|
because, since
|
as, for
|
조건
|
if, unless, as long as
|
provided that
|
시간
|
when, after, before, as soon as
|
once, while, until
|
✔ 일상 회화에서는 짧고 간결한 표현이 많고, 문어체에서는 좀 더 격식 있는 접속사가 쓰이는 경향이 있음.
'Go Englis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어 동명사 (-ing)와 to부정사 (to + 동사 원형) (1) | 2025.02.16 |
---|---|
영어로 "as"는 관계대명사일까요? 접속사일까요? (0) | 2025.02.16 |
영어 관계대명사 종류와 예문 3 (1) | 2025.02.16 |
영어 관계대명사 종류와 예문 2 (0) | 2025.02.15 |
영어 관계대명사 종류와 예문 1. (5) | 2025.02.15 |